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ellif

Ellif de arsle

  • 대표 닉 : Ellif(엘리프,earpile) de arsle
  • 이전 닉 : 갈라드리엔, 비체이어(Bycheyear), lovechri(크리조아), 엘시에넨/Elsienen
  • SeeAlso [민네]

연결링크

Dear Galadrien

http://musikis.cafe24.com/ccmpic/imgs/ccmpic-16.png 이 그림을 님의 img 폴더에 넣어주세요. –musiki
:작업 완료했습니다. -갈라드리엔
성경요절 180개 넣어놓고 갑니다. –musiki
반갑습니다. 좋은 추억의 고3…행복했든지 슬펐든지…인생의 가장 아름다운 기간중 한 부분 ^^ –keymaker

Quenya는 그렇다고 치고, 프랑스어에서 최근에 하나 더 증거가 나왔습니다. 1월의 수호성 이름인 '라 투르바 드루에'는 프랑스 남부지방의 고대어인 '오크어langue d'<oc>' '투르바도르troubadour'의 변형임이 확실합니다. 뜻도 동일한 음유시인입니다.^^; 믿기지 않으시거든 제 졸작을 참조하시기를. -갈라드리엔

NoSmoke:CafeNoir 입니다. 제 위키에 남긴 글을 이제야 확인했습니다. (거 계정 주인이 요금 안 낸지가 언젠데 아직도 사이트 들어가지는게 신기하군요.) Conlang을 만들면서 단어 하나나 둘쯤 이언어 저언어에서 베껴오는 것 정도는 '영향'이 아니라 '차용'입니다. 자연어의 경우도, 한국어 단어 70%이상이 중국어 어원이라고 해서 한국어를 중국어와 한 계통으로 보지 않습니다. 이스나미르어에 대해 밝혀진 게 없고, 현재까지 알려진 것만으로 문법을 재구성할 수도, 쓸만한 단어목록을 만들 수도 없는 상태에서 이스나미르어가 무슨 언어의 어떤 영향을 받았다고 말하는 건 억지라고밖에는 볼 수 없습니다. (네. 그리고 여전히 이스나미르어가 엄연한 언어라고 인정할 생각이 추호도 없습니다. Naming language도 언어입니까)

ps. 오키타니아어(Langue d'oc)은 고대어가 아니라 엄연히 현재까지 쓰이고 있는 현대어입니다. 가족끼리 오손도손 모이는 추석입니다. 엘리프님도 좋은 추석보내시고 marE에도 풍성한 결실이 이어지길 바라겠습니다. - airridi

ellif.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5/03/12 03:47 저자 127.0.0.1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