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takiu_i_기초문법
no way to compare when less than two revisions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takiu_i_기초문법 [2015/03/12 03:47] (현재) – 만듦 - 바깥 편집 127.0.0.1
줄 1: 줄 1:
 +'''Takiu'i 기초문법'''
 +
 +======= Takiu'i 1 =======
 +
 +※ Takiu'i(타키유이)에 대한 개요라고 할 수 있는 글입니다.
 +
 +타키유이는 제작자 소레유에(pigiyes@naver.com, 지금은 민트빛으로 바뀌었습니다.)에 의하여 창작된 언어(흔히들 인공언어라고 합니다.)입니다.
 +이 언어에는 방언이라 보기는 어렵지만 이 언어의 발음 형식을 따르는 약간 다른 형식의 문법을 가진 언어가 생겨날 수도 있습니다.
 +(stelo의 마르얌님의 prihb 처럼요.)
 +
 +여기는 주로 타키유이 방언에 대한 얘기를 늘어놓겠습니다.
 +
 +
 +======= Takiu'i 2 =======
 +
 +※ Takiu'i(타키유이) 방언에 대한 기초 문법이라고 할 수 있는 글입니다.
 +
 +타키유이 방언은 로마자로 표기하며, 기존 타키유이에서 "b" 음운을 "p'" 으로 표기한다거나, "g" 음운을 "k'"으로 표기하는 관례가 없이
 +모두 발음 그대로 표기합니다.
 +
 +타키유이 방언의 음운은 아래와 같습니다.
 +
 +ⓐ 성모 30개 CONSONANT
 +||t||||c||||p||||k||||s||||d||||j||||b||||g||||z||
 +||dd||||cc||||bb||||gg||||ss||||n||||h||||m||||ng||||l||
 +||th||||tr||||str||||st||||sq||||sp||||sc||||kr||||f||||v||
 +
 +ⓑ 운모 50개 BOWEL + CONSONANT
 +||a||||o||||u||||e||||i||||ai||||ou||||ei||||au||||eo||
 +||ya||||yo||||yu||||ye||||ü||||yai||||you||||yei||||yau||||iuau||
 +||wa||||wo||||üe||||we||||wi||||wai||||wou||||wei||||wau||||ün||
 +||ang||||ong||||ung||||eng||||ing||||üng||||oin||||yoin||||woin||||an||
 +||aon||||on||||un||||en||||in||||ain||||oun||||ein||||aun||||eon||
 +
 +성모x운모 = 50 x 30 =1500개의 발음이 가능합니다.
 +
 +여기서 성모는 자음, 운모는 모음+자음(종성)을 말합니다.
 +
 +ⓒ 성조(혹은 강세) TONE
 +
 +타키유이 방언(표준어에는 성조가 없습니다.)에도 성조가 있긴 합니다만, 별로 쓰이지는 않고, 굳이 성조 부호를 표시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
 + 1) 강세를 옮겨줄 때 : 이 언어는 에스페란토처럼 가장 뒤 음절에서부터 2음절에 강세가 오나, 성조 부호를 붙여서 강세의 이동을 표시해 줍니다.
 + 2) 의문이나 어기조사가 뒤에 올 때 : 이 때 의문조사나 어기조사에 성조가 붙습니다.
 +
 +1. 문장의 어순
 +
 +문장의 어순은 타키유이 표준어와 똑같이 <목적어+주어+술어> 입니다.
 +
 +lyei kyou te 나는 너를 사랑해. <lyei : 너 kyou : 나 te 사랑하다>
 +
 +m&iacute;ddiang kyou migg&aacute; 나는 밥을 먹는다. <m&iacute;ddiang 밥 migg&aacute; 먹다>
 +
 +타키유이 표준어에서는 이 어순을 바꿀 때 유용하기 위해 주격 조사, 목적격 조사, 관형격 조사가 존재하지만, 타키유이 방언에는 그것들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목적어 + 주어 + 술어> 로 고정돼 있습니다. 게다가 고립어이니까 위치가 아주 중요하죠.
  
takiu_i_기초문법.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5/03/12 03:47 저자 127.0.0.1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