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념론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Les passions de l'âme
데카르트의 저서 중 하나.
아래의 제목들은 동서문화사의 World book, 15 에 있는 목차 그대로를 서술한 것이다.
- 제 1부 : 정념의 요지를 설명하여 우연히 인생 전체에 미치다
- 1. 어떤 주체에서 수동인 것은 다은 관점에서는 항상 능동이다
- 2. 마음이 정념이 무엇인가를 알려면 마음과 몸의 기능을 구별해야 한다
- 3. 그러기 위해서는 어떤 규칙에 따라야 할 것인가
- 4 열과 지체의 활동은 몸에서, 상념은 마음에서 생긴다
- 5 마음이 몸과 운동에 열을 준다고 믿는 것은 잘못이다
- 6 살아있는 몸과 죽은 몸의 차이는 무엇인가
- 7 몸의 각 부분과 그 몇가지 기능에 대한 간단한 해설
- 8 이들 여러 기능의 원리는 무엇인가
- 9 심장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10 동물 정기는 어떻게 하여 뇌 속에 만들어지는가
- 11 근육의 운동은 어떻게 하여 생기는가
- 12 외부의 사물은 어떻게 감각기관에 작용하는가
- 13 이러한 외부 사물들의 작용은 정기를 여러가지 방법으로 근육에 전달한다
- 14 정기 사이에 있는 성질의 차이는 그 흐르는 방법을 다양하게 만든다
- 15 정기가 같지 않은 원인은 무엇인가
- 16 모든 지체가 마음에 의하지 않고, 감각의 대상 및 정기에 의해서 움직여질 수 있는 경위
- 마음의 기능은 무엇인가
- 의지에 대해서
- 지각에 대해서
- 마음이 만드는 상상과 그 밖의 상념에 대해서
- 몸만을 원인으로 하는 상에 대해서
- 지각 안에 존재하는 여러가지 구별에 대해서
- 우리의 외부에 존재하는 사물에 귀속시킬 지각에 대해서
- 몸에 귀속시킬 지각에 대해서
- 마음에 귀속시킬 지각에 대해서
- 단지 정기의 우연한 운동에 의한 상상도 신경에 의한 지각과 같은 정도의 참된 정념일 수 있다
- 마음의 여러 정념에 관한 정의
- 이러한 정의 전반의 설명
- 후반의 설명
- 마음이 몸의 각 부분과 상관한다는 것
- 뇌에는 미세한 선이 있고, 마음은 다른 부분보다 특히 이 선에서 그 기능을 발휘한다
- 이 선이 마음의 주된 자리라는 것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심장에는 정념의 자리가 없다
- 몸과 마음이 서로 작용하는 경위
- 사물이 주는 인상이 뇌 중앙부의 선에서 어떻게 결합되는가의 예
- 정념이 어떻게 하여 마음 속에 자극되는가의 예
- 정념이 모두 어떤 정기운동으로 일어난다고 생각되는 경위
- 정념을 따르되 마음에 의존하지 않는 신체 운동의 예
- 같은 원인이 사람마다 다른 정념을 자극할 수 있는 경위
- 정념의 주요 작용은 무엇인가
- 몸에 대한 마음의 힘은 어떠한가
- 생각해 내고자 하는 일이 기억 속에서 어떻게 발견되는가
- 마음은 어떻게 상상하고, 유의하고 또 몸을 움직일 수 있는가
- 본래 의지는 저마다 어떤 선운동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수련이나 습관으로 이것을 다른 선운동으로도 연결시킬 수 있다.
- 정념에 대한 마음의 힘은 어떠한가
- 마음이 그 정념을 완전히 지배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보통 마음의 밑부분과 윗부분 사이에서 일어난다고 상상되는 싸움은 어디에 존재하는가
- 마음의 강약은 무엇으로 아는가, 또 가장 약한 마음의 불행은 무엇인가
- 마음의 힘도 진리를 모르고서는 충분하지 않다
- 지도를 잘하면 정념에 대해서 절대권을 갖지 못할 만큼 박약한 마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 2부 : 정념의 수와 순위, 그 기본 여석가지 정념에 대한 설명
- 51 정념의 근본 원인은 무엇인가
- 정념의 효용은 어떠한가, 또 어떻게 ㅈ어념을 열거할 수 있는가
- *정념의 순위와 열거**
- 경이(admiration)
- 존중(estime), 경시(mépris),, 고매(générosité), 오만(orgueil), 겸손(humilité), 비굴(bassesse)
- 존경(vénération)과 모멸(dédain)
- 사랑(amour)과 증오(haine
- 욕망(désir)
- 희망, 두려움, 질투, 안심, 절망
- 망설임, 용기, 대담 경쟁심, 비겁, 공포
- 가책
- 기쁨과 슬픔
- 야유, 선망, 연민
- 자기만족과 후회
- 호의와 감사
- 분개와 노여움
- 명예심과 치욕
- 혐오, 유감, 유열
- 이 정념의 열거는 왜 일반적으로 인정된 것과 다른가
- 기본적인 정념은 여섯가지가 있을 뿐이다
- 경이, 그 정의와 원인
- 이 정념을 가지고는 심장이나 피에 어떠한 변화도 초래하지 않는다
- 경이가 강한 이유는 무엇인가
- 경악이란 무엇인가
- 모든 정념은 무엇에 쓰며, 무엇에 해를 입히는가
- 경이는 특히 무엇에 존재하는가
- 경이는 어떤 점에서 해로운가, 또 어떻게 그 모자람을 채우고 지나친 것을 고칠 수 있는가
- 가장 쉽게 놀라는 사람은 아주 바보도 아니고 지나치게 똑똑한 사람도 아니다
- 지나친 경이는 것을 바로잡는 노력을 게을리하면 습성이 된다
- 사랑과 미움의 정의
- 자진해서 결합하고 또 떨어진다는 것은 무엇인가
- 보통 있는 욕망의 사랑과 호의의 사랑의 구별
- 서로 다른 몇 개의 정념이 사랑의 성질을 나누어 갖는 점에서 일치하는 경위
- 단순한 사랑과 우애, 헌신적인 사랑과의 차이
- 미움에는 사랑만큼 여러가지가 없다
- 쾌와 불쾌에 대해서
- 욕망에 정의
- 욕망은 반대 정념이 없는 정념이다
정념론.131072417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5/03/12 03:38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