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又非文開, (문우비문개)
難製不能答. (난제불능답)
得行如此也, (득행여차야)
得卽且得壓. (득즉차득압)

문학과 비문학을 펼쳐들고,
어려운 문제에 능히 대답치 못하도다.
득도하는 것이 이와 같아서,
얻음이 또한 압박을 얻음과 같도다.

2행의 불능을 서로 바꾸었으면 하는 마음이 있다.
이 글을 이해할 수 있다면, 당신은 한국 웹문화에 능하다^^:

2004-11-20 (토) 13:18. 사조 전라도.

道不道言道 (도불도언도),
愚者見之道 (우자견지도),
賢者見只策 (현자견지책),
相必警戒道 (상필경계도).

길이 아닌것을 길이라고 하는것은,
어리석은 자가 그것을 볼 때에는 길이나,
현자가 볼ㅤㄸㅒㅤ에는 단지 획책이므로,
반드시 항상 '길'을 경계해야 한다.

不對面書籍 (불대면서적),
吾之心成敵 (오지심성적).
此敵侵自我 (차적침자아),
必是我之賊 (필시아지적).

책을 보지 않는 것은,
나의 마음에 적을 이루는 것이다.
이 적은 자아에 침투하여,
필시 나의 적이 될것이다.

2005-03-06 (일) 10:08. 사조 전라도. 복사한 글이라 이렇다.

主倻蘇愛己 (주야소애기),
何其心不受 (하기심불수).
喜之心如苡 (희지심여이),
主汝間間無 (주여간간불).

주 예수 날 사랑하시니,
어찌 이 마음을 받지 아니하랴.
기뻐하는 마음은 질경이 같아서,
그와 나 사이에 사이가 없도다.

깰까 싶다가 깨지 않기로 했다.
그러나 아직 그러하다.

060906. 21:00

46변려체 하나.
朋友勸進, 敢思再出使也, (붕우권진, 감사갱출사야)
先點檢心, 可以不可制吾. (선점검심, 하이불가제오.)

친구가 나아가 권하여, 감히 생각하여 다시 출사하려는 것을,
먼저 마음을 점검하니, 어찌 이로서 나를 제어하지 못하랴.

..이건 아닌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