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찬미예수님

미사곡은 보통 다음의 5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2, 4, 5가 가장 기본입니다.

1. Kyrie (기리에)
2. Gloria (글로리아)
3. Credo (끄레도)
4. Sanctus (쌍뚜스)
5. Agnus Dei (아뉴스 데이)


1. Kyrie(자비를 구하는 기도)

Kyrie eleison.
기리에 엘레이손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Christe eleison.
크리스테 엘레이손
그리스도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Kyrie eleison.
기리에 엘레이손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거룩한 예식(미사)을 합당하게 봉헌하기 위해 자신의 죄를 통회하고 하느님께 자비를 구하는 기도이기에 이 Kyrie는 늘 차분한(?) 곡입니다. 이어서 나오는 Gloria(대영광송)는 장엄한 곡이며 Kyrie와는 분위기나 감정이 전혀 다릅니다.


2. Gloria (대영광송)

Gloria in excelsis Deo.
글로리아 인 엑첼시스 데오
영광 하늘에서는 하느님 (*하늘 높은 곳에는 천주께 영광)

Et in terra pax hominibus bonae voluntatis.
ㅤㅇㅔㄷ 인 떼라 빡스 호미니부스 보내 볼룬따띠-스
그리고 땅에서는 평화 사람에게 선한 뜻(의지)
(*땅에서는 마음이 착한 이에게 평화.)

Laudamus te, Benedicimus te,
라우다무스 떼 베네디치무스 떼
우리는 찬미합니다. 당신을 송축합니다
(*주를 기리나이다 찬미하나이다.)

Adoramus te. Glorificamus te.
아도라무스 떼. 글로리퓌까무스 떼
흠숭합니다. 영화롭게 합니다.
(*주를 흠숭하나이다. 높이 받드나이다.)

Gratias agimus tibi
그라씨아 싸지무스 띠비 (연음 때문에 싸지무스가 됨 )
감사 하나이다 너에게 (*감사하나이다.)

propter magnam glroriam tuam.
쁘롭떼르 마냠 글로리암 뚜암
때문에 큰 영광 너의 (*주의 영광 크시기에)

Domine Deus, Rex coelestis,
도미네 데우스 렉스 첼레스띠스
주님이시여 하느님 왕 하늘에 있는
(*주 천주여 하늘의 임금이여)

Deus Pater omnipotens.
데우스 빠테르 옴니뽀뗀스
하느님 아버지 전능한 (*전능하신 천주 성부여)

Domine Fili unigenite, Jesu Christe.
도미네 휠리 우니제니떼 예수 크리스떼
주님이시여 아들 하나뿐인 예수 그리스도 (*외아들 예수 그리스도여)

Domine Deus, Agnus Dei, Filius Patris.
도미네 데우스 아뉴스 데이 휠리우스 빠뜨리스
하느님 어린양 하느님의 아들 아버지의 (*천주의 어린 양이여)

Qui tollis peccata mundi, miserere nobis.
뀌 똘리스 뻬까따 문디 미세레레 노비스
어느(분) 치우다 죄 세상의 불쌍히여기소서 우리를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Qui tollis peccata mundi, suscipe deprecationem nostram.
뀌 똘리스 뻬까따 문디 수쉬뻬 데쁘레까씨오넴 노스뜨람
치우다 죄 세상의 받다 간구(간청) 우리의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주여, 우리의 기도를 들어주소서.)

Qui sedes ad dexteram Patris, miserere nobis.
뀌 세데스 ㅤㅇㅏㄷ 덱스떼람 빠뜨리스 미세레레 노비스
앉다 근처 오른손쪽 아버지 불쌍히여기소서 우리를
(*성부 오른 편에 앉아 계시는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Quoniam tu solus sanctus. Tu solus Dominus.
꿔니암 뚜 쏠루스 쌍뚜스 뚜 쏠로스 도미누스
이런 연고로 너는 홀로 거룩하시다 주님이시다
(*홀로 거룩하시고 홀로 주님이시고)

Tu solus Altissimus, Jesus Christe.
뚜 쏠루스 알띠씨무스 예수 크리스떼.
너는 홀로 높으시다 예수 그리스도
(*예수 그리스도 홀로 높으시도다.)

Cum Sancto Spiritu In gloria Dei Patris.
꿈 쌍또 스삐리뚜 인 글로리아 데이 빠뜨리스
함께 거룩한 영 안에 영광 하느님 아버지
(*천주 성부의 영광 안에 성신과 함께)

Amen.
아멘.

(주의) * Gloria: ‘글로리아’로 발음합니다.
* Benedicimus: ‘베네디치무스’. ‘c’가 a, o, u를 만나면 ‘ㄲ’, e, I, y를 만나면 ‘ㅊ’ 소리가 납니다.
* Miserere: ‘미제레레’가 아니라 ‘미세레레’로 발음합니다.


3. Credo (신앙 고백)

Credo in unum Deum, Patrem omnipotentem,
끄레도 인 우눔 데움 빠뜨렘 옴니뽀뗀뗌
나는 믿는다 하나 하느님 아버지 전능한
(*나는 믿나이다, 한분이신 전능 천주 성부)

factorem caeli et terrae, visibilium omnium, et invisibilium.
확또렘 첼리 ㅤㅇㅔㄷ 떼래 비시밀리움 옴니움 ㅤㅇㅔㄷ 인비시빌리움
만들다 하늘 과 땅 볼수있는(有形한) 모든것 과 볼수없는(無形)
(*하늘과 땅과, 유형 무형한 만물의 창조주를 믿나이다. )

Et in unum Dominum Jesum Christum, Filium Dei unigenitum.
ㅤㅇㅔㄷ 인 우눔 도미눔 예숨 크리스뚬 퓔리움 데이 우니제니뚬
그리고 하나 주님 예수 그리스도를 아들 하느님의 외아들
(*오직 한 분이신 주 예수 그리스도 천주의 외아들)

Et ex Patre natum ante omnia saecula.
ㅤㅇㅔㄷ 엑스 빠뜨레 나뚬 안떼 옴니아 세꿀라
-에서 아버지 출생 전에 모든 세기(世紀)
(*모든 세대에 앞서 성부께 나신 (천주의 외아들))

Deum de Deo,
데움 데 데오
하느님 -로부터 하느님으로 (*천주로부터 나신 천주시요,)

lumen de lumine,
루멘 데 루미네
빛을 -로부터 빛으로 (*빛으로부터 나신 빛이시요)

Deum verum de Deo vero.
데움 베룸 데 데오 베로
하느님을 틀림없는 -로부터 주님 참으로
(*참 천주로부터 나신 참 천주로서)

Genitum, non factum, consubstantialem Patris:
제니뚬 논 확뚬 꼰숩스딴씨알렘 빠뜨리스
출생 아니 제작 동체(同體)의 아버지
(*창조되지 않고 나시어 성부와 일체이시며)

per quem omnia facta sunt.
뻬르 뀀 옴니아 확따 순-트
통하여 누구를 모든 것 만들다 이다(영어의 am)
(*만물이 다 이분으로 말미암아 창조되었음을 믿으며)

Qui propter nos homines,
뀌 쁘롭떼르 노스 호미네스
때문에 우리 인간을 (*우리 인간을 위하여)

et propter nostram salutem descendit de caelis.
ㅤㅇㅔㄷ 쁘롭떼르 노스트람 살루뗌 데쉔딛 데 첼리스
때문에 우리의 구원을 내려오다 부터 하늘
(*우리의 구원을 위하여 하늘에서 내려오시어)

Et incarnatus est de Spiritu Sancto ex Maria Virgine:
ㅤㅇㅔㄷ 인까르나뚜스 에스트 데 스피리뚜 쌍또 엑스 마리아 비르지네
강생한 이다(is) 영 거룩한 에서 마리아 동정녀의
(*성령으로 동정녀 마리아께 혈육을 취하시고)

Et homo factus est.
ㅤㅇㅔㄷ 호모 확뚜스 에스트
사람 만들다 이다(is) (*사람이 되심을 믿으며)

Crucifixus etiam pro nobis:
끄루치획쑤스 에씨암 쁘로 노비스
십자가형벌 그래도 위하여 우리를
(*우리를 위하여 십자가에 못박히시고)

sub Pontio Pilato passus, et sepultus est.
숩 폰찌오 필라또 빠수스 ㅤㅇㅔㄷ 세뿔뚜스 에스트
밑에 본시오 빌라도 수난 매장(묻힘)
(*본시오 빌라도 치하에서 고난을 받으시고, 묻히심을 믿으며)

Et resurrexit tertia die, secundum Scripturas.
ㅤㅇㅔㄷ 레수렉씬 떼르씨아 디에 세꾼둠 스크립뚜라스
부활 삼 날 -대로 성서
(*성경 말씀대로 사흗 날에 부활하시고)

Et ascendit in caelum : sedet ad dexteram Patris.
ㅤㅇㅔㄷ 아쉔딛 인 첼룸 세ㅤㄷㅔㅌ ㅤㅇㅏㄷ 덱스떼람 빠뜨리스
승천하다 하늘(천상) 앉다 오른손쪽 아버지
(*하늘에 올라 성부 오른 편에 앉아 계시며)

Et iterum venturus est cum gloria, judicare vivos et mortuos
ㅤㅇㅔㄷ 이떼룸 벤뚜루스 에스트 꿈 글로리아 유디까레 비보스 ㅤㅇㅔㄷ 모르뚜오스
다시 오다 함께 영광 재판 생명있는 죽은
(*산 이와 죽은 이를 심판하러 영광 속에 다시 오시리라 믿나니)

cujus regni non erit finis.
꾸유스 레니 논 에ㅤㄹㅣㄷ 휘니스
그의 나라 아니다 이다 끝나다 (끝나지 않으리라)
(*그의 나라는 끝이 없으리이다.)

Et in Spiritum Sanctum, Dominum, et vivificantem
ㅤㅇㅔㄷ 인 스삐리뚬 쌍뚬 도미눔 ㅤㅇㅔㄷ 비비휘깐뗌
거룩한 영 주님을 생명을 줌
(*주님이시며 생명을 주시는 성령을 믿나니)

qui ex Patre Filioque procedit.
뀌 엑스 빠뜨레 휠리오꿰 쁘로체딛
에게서 아버지 아들 및 나아가다
(*(성령은) 성부와 성자에게서 좇아 나시며)

Qui cum Patre et Filio simul adoratur, et conglorificatur
뀌 꿈 빠뚜레 ㅤㅇㅔㄷ 휘리오 씨물 아도라뚜르 ㅤㅇㅔㄷ 꽁글로리휘까뚜르
함께 아버지 아들 동시에 숭배하다 같이 찬양하다
(*성부와 성자와 더불어 같은 흠숭과 찬양을 받으시며)

qui locutus est per Prophetas.
뀌 로꾸뚜스 에스트 뻬르 쁘로페따스
말한 이다 통하여 예언자들
(*예언자들을 통하여 말씀하셨나이다.)

Et unam sanctam catholicam et apostolicam Ecclesiam.
ㅤㅇㅔㄷ 우남 쌍땀 카톨릭깜 ㅤㅇㅔㄷ 아뽀스톨리깜 에끌레시암
하나 거룩한 공번된 사도로부터 교회
(*하나이고, 거룩하고, 사도로부터이어오는 교회와,)

Confiteor unum baptisma in remissionem peccatorum.
꼰휘떼오르 우눔 밥띠스마 인 레미씨오넴 뻬까또룸
고백하다 하나 성세(세례) 사함(용서함) 죄
(*죄를 사하는 하나의 성세를 믿으며)

Et exspecto resurrectionem mortuorum. Et vitam venturi saeculi.
ㅤㅇㅔㄷ 엑스뼁또 렉수렉씨오넴 모르뚜오룸 ㅤㅇㅔㄷ 비땀 벤뚜리 쎄꿀리
기다리다 부활을 죽은자의 생명을 올(오다) 세상
(*죽은이들의 부활과 후세의 영생을 기다리나이다.)

Amen.
아멘.


4-1. Sanctus(거룩하시다)

천사 세라핌의 찬가(이사야6,3)와 예수께서 예루살렘에 입성하실 때 환영하던 백성들의 찬가(마태오21,9)를 합한 것입니다.
> 오기이다. 
사 6:3에는 '거룩하다 거룩하다 거룩하다 만군의 여호와여 그의 영광이 온 땅에 충만하도다'라고 되어있다.
뒤의 찬가는 Benedictus로 봐야 옳다.

Sanctus, Sanctus, Sanctus Dominus Deus Sabaoth.
쌍뚜스 도미누스 데우스 사바오 (18)
거룩한 주님 하느님 천상군대
(*거룩하시다 온 누리의 주 천주) (22)

Pleni sunt caeli et terra gloria tua.
쁠레니 순트 첼리 ㅤㅇㅔㄷ 떼라 글로리아 뚜아 (16)
가득히 이다 하늘 과 땅 영광 너
(*하늘과 땅에 가득한 그 영광) (11)

Hosanna in excelsis.
호산나 인 엑첼시스 (8)
호산나 -에 높은곳
*높은 데에 호산나 (7)

nal marE:
ló, ló, ló, elwika nhiio;
로: 로: 로:  엘위카 니요. (8)
pa lowo elwirdirae paleso.
파 로워 엘위르디래 팔레소. (11)
hosanna, hoî seae.
호산나, 호아이 세애. (8)

ennafl ledof cimaro: ló, ló, ló, elwika nhiio; pa lowo el(wir)dirae (co)paleso. (사 6:3)

4-2. Benedictus

Sanctus 와 Benedictus는 원래 연속 되는 두 곡입니다. 그렇지만 늘 연속으로 나오기에 한국에서는 한곡처럼 작곡하곤 합니다.

Benedictus qui venit in nomine Domini.
베네딕뚜스 뀌 베닛 인 노미네 도미니
찬미받으소서 어느 오다 이름 주님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찬미 받으소서.)

Hosanna in exelsis.
호산나 인 엑첼시스
(*높은 데에 호산나.)


5. Agnus Dei( 천주의 어린양)

옛날 제사를 지낼 때 어린 양을 잡아 속죄의 제사를 지냈는데 양순하고 죄 없는 예수께서 인간을 위해 희생되셨기에 예수님을 천주의 어린 양이라고 합니다.

Agnus Dei, qui tolis peccata mundi :
아뉴스 데이 뀌 똘리스 뻬까따 문디
어린양 하느님의 치우다 죄 세상의
(*천주의 어린양,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주여)

miserere nobis.
미세레레 노비스
불쌍히 여기다 우리를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반복)

dona nobis pacem.
도나 노비스 빠쳄
줌 우리에게 평화를
(*우리에게 평화를 주소서.)  

이러한 미사의 형태는 예수 그리스도의 최후만찬에서 유래한다. 이 최후만찬은 고양(羔羊)의 피로써 구원된 이스라엘 민족이 대대로 기념해 오던 유태교의 빠스카 축제 양식을 본딴 것이지만, 그 내용과 차원에 있어 월등할 뿐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신약의 빠스카 잔치인 것이다. 최후만찬의 미사의 첫 형태는 시대를 거쳐 오면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초기 공동체에서는 최후만찬 때와 같이 식탁 공동체에서 성찬례가 거행되었다. 즉 일반식사와 구별된 것이 아니라, 신자들의 소공동체가 일반식사를 하면서 빵과 포도주를 축성하여 그리스도의 성체와 성혈을 이루어 먹고 마시는 성찬을 하였다(루가 22:20, 1고린 11:17-34, 사도 2:46). 그러나 이러한 식탁 소공동체로서의 성찬례는 신자 공동체가 비대하여지므로 거기에서 자연적 으로 생기는 실질적인 기술 문제와 난관과 남용의 우려로 인하여 일반식사와 분리하여 따로 성찬례를 거행하였다(마태 26:26-29, 마르 14:22-25). 그 뒤 성찬례가 일반식사와 분리되어 거행될 때, 이 성찬례 전레 성스러운 분위기를 조성하고 마음의 타당한 준비를 갖추고자 성서봉독을 결부시켰다. 즉 유태인들이 샤밧 날 아침에 그들 회당에서 거행하였고, 그를 초기 그리스도 신자들도 받아들여 아침 저녁 기도로 실천하여 오던 성서봉독 예배를 성찬례 전에 거행하게 되었다. 성서봉독 예배인 말씀의 전례와 성찬의 전례가 연결되어 미사의 형태를 이룬 것은 대략 150년경이다(Justinus Martyr, Apologia I, C. 65-67). 그 뒤 그리스도교의 신앙 전파로 여러 민족이 그리스도교 귀화하고 따라서 각 민족과 지역의 풍습과 전통이 다르므로 미사의 본질적 요소를 그대로 보존하면서도 변화가 가능한 외적 요소와 기도들이 첨가되고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150년경 말씀의 전례와 성찬의 전례가 미사의 구성요소가 된 뒤 오늘날과 같은 미사의 형태가 완성된 것은 7세기 중엽이라고 할 수 있다. 3세기 초에 거행되던 미사 거행 양식의 중요 요소들을 보면, 참회 예식(시초에는 부복자세, 후대에 와서 죄고백의 행위와 기도), 성서봉독(사도행전, 서간, 구약에서 발췌) 대응송, 강론, 평화의 인사, 예물준비, 성찬기도, 영성체로 끝났다. 그 뒤 5세기 초에는 이상의 요소들에 공동기도, 예물봉헌, 성찬기도의 고정(현재 사용되는 제1 성찬기도문), 주의 기도가 첨가되었다. 그리고 6세기 초엽에는 입당송, 기리에, 대영광송, 본기도, 봉헌송, 봉헌 기도, 거룩하시다, 영성체송, 영성체후 기도 등이 첨가되었다. 7세기 중엽까지는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성체와 성혈을 조금 들음, 천주의 어린 양 등이 도입 첨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