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e:ex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다음 판 | 이전 판 | ||
mare:ex [2010/12/27 02:29] – 새로 만듦 ellif d.a | mare:ex [2015/03/12 04:39]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줄 1: | 줄 1: | ||
- | == 1부 == | + | ====== 1부 ====== |
- | 0. 알파벳 (escere)과 발음 | + | ===== 0. 알파벳 (escere)과 발음 |
- | 마레의 알파벳인 escere는 5*5의 25자 중에서, 5자는 자음으로, | + | 마레의 알파벳인 escere는 5*5의 25자 중에서, 5자는 자음으로, |
발음은 한국어나 영어의 발음사용과 비슷하나 몇가지 예외가 있다. 자세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 발음은 한국어나 영어의 발음사용과 비슷하나 몇가지 예외가 있다. 자세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 ||
- | 주의 1 : 일부 발음 표기중, {x/y}의 x는 한글로마자표기법, | + | 주의 1 : 일부 발음 표기중, {x/y}의 x는 한글로마자표기법, |
주의 2 : 이 표는 편의상을 위해 누워 놓은 것이며, 원래는 echmr/ | 주의 2 : 이 표는 편의상을 위해 누워 놓은 것이며, 원래는 echmr/ | ||
|| 알파벳 || 발음 || 알파벳 || 발음 || 알파벳 || 발음 || 알파벳 || 발음 || 알파벳 || 발음 || | || 알파벳 || 발음 || 알파벳 || 발음 || 알파벳 || 발음 || 알파벳 || 발음 || 알파벳 || 발음 || | ||
- | || e || [[HTML([e])]] || a || [[HTML([a])]] || i || [[HTML([i])]] || o || [[HTML([o])]] || u || [[HTML([u])]] || | + | || e || [e] || a || [a] || i || [i] || o || [o] || u || [u] || |
- | || c || [[HTML([ss])]] 1) || s || [[HTML([s])]] || b || [[HTML([b/p}])]] || g || [[HTML([g/k])]] || nh || [[HTML([n'])]] 2) || | + | || c || [ss] <sup>1)</ |
- | || h || [[HTML([h])]] || p || [[HTML([p/p'])]] || d || [[HTML([d/t])]] || j || [[HTML([j])]] || ch || [[HTML([ch])]] || | + | || h || [h] || p || [p/p'] || d || [d/t] || j || [j] || ch || [ch] || |
- | || m || [[HTML([m])]] || t || [[HTML([t/t'])]]} || f || [[HTML([p/f])]] || k || [[HTML([k/k'])]] || fl || [[HTML([fl])]] 3) || | + | || m || [m] || t || [t/ |
- | || r || [[HTML([r])]] || n || [[HTML([n])]] || l || [[HTML([ll])]] || th || [[HTML([th])]] || w || [[HTML([w])]] || | + | || r || [r] || n || [n] || l || [ll] || th || [th] || w || [w] || |
- | 1) c의 경우에는 | + | 1) c의 경우에는 |
- | 2) n를 좀 더 세게 발음한다. | + | 2) n를 좀 더 세게 발음한다.\\ |
- | 3) 한국어에서 fl은 [[HTML([플ㄹ])]]로 읽는다. 따라서 | + | 3) 한국어에서 fl은 **플ㄹ**로 읽는다. 따라서 |
- | 4) l은 거의 | + | 4) l은 거의 |
- | 1. 기초 8 종지형 (9형, 그 이상으로 확대될 가능성 있음) | + | ===== 1. 기초 8 종지형 (9형, 그 이상으로 확대될 가능성 있음) |
|| 글자 || 발음 || 뜻 || | || 글자 || 발음 || 뜻 || | ||
줄 27: | 줄 27: | ||
|| o || o || 동사, -은, | || o || o || 동사, -은, | ||
|| u || u || -와/과 || | || u || u || -와/과 || | ||
- | || & | + | || â || ei || -로서/ |
- | || & | + | || î || ai || -한, -은, -토록 || |
- | || & | + | || û || yu || -로, -에, -하러, -하게, -라고 || |
& | & | ||
줄 41: | 줄 41: | ||
|| o || o || -은, | || o || o || -은, | ||
|| u || u || -와/과 || || || | || u || u || -와/과 || || || | ||
- | || & | + | || â || ei || -로서/ |
- | || & | + | || î || ai || -한, -은, -토록 || || 형용사, 관형사 || |
- | || & | + | || û || yu || -로, -에, -하러, -하게, -라고 || 부사격 || || |
- | 2. 추가 종지형 | + | ===== 2. 추가 종지형 |
기본 8 종지형이 모잘라서 만든 종지형. 많이 쓰지 않는 걸 원칙으로 한다. | 기본 8 종지형이 모잘라서 만든 종지형. 많이 쓰지 않는 걸 원칙으로 한다. | ||
줄 52: | 줄 52: | ||
|| uo || -하고있다 || ua || -도(also) || | || uo || -하고있다 || ua || -도(also) || | ||
|| ofl || -하면서 || of || -니, | || ofl || -하면서 || of || -니, | ||
- | || hi || -같이(like) || o& | + | || hi || -같이(like) || oâ || - 에 있어 || |
- | || o& | + | || oî || -라는 || |
|| oi || -라는것을 || | || oi || -라는것을 || | ||
|| ik || -이/ | || ik || -이/ | ||
줄 60: | 줄 60: | ||
|| ot || -지만, -라도 || os || -하자 (-ね) || | || ot || -지만, -라도 || os || -하자 (-ね) || | ||
- | 3. 기초 5 접두사 | + | ===== 3. 기초 5 접두사 |
가장 기초적인 접두사이다. c+5개의 모음을 합쳐서 만든 단어인데. 이 단어가 문장의 시제나 기타 사항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잘 외워둘것' | 가장 기초적인 접두사이다. c+5개의 모음을 합쳐서 만든 단어인데. 이 단어가 문장의 시제나 기타 사항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잘 외워둘것' | ||
줄 71: | 줄 71: | ||
(2007년 4월, 다음 접두사가 추가되었다.) | (2007년 4월, 다음 접두사가 추가되었다.) | ||
- | || c& | + | || cî || 수동 || |
(2007년 9월, 다음 접두사를 신중히 검토중이다.) | (2007년 9월, 다음 접두사를 신중히 검토중이다.) | ||
줄 77: | 줄 77: | ||
|| lo || 의지 || | || lo || 의지 || | ||
- | 4. zamenhofa tabulo | + | ===== 4. zamenhofa tabulo |
의문사를 나타내기 위해, zamenhofa tabulo를 도입하고, | 의문사를 나타내기 위해, zamenhofa tabulo를 도입하고, | ||
뭔지 이해가 안가는 사람은, 에스페란토의 zamenhofa tabulo를 공부하고 오도록! | 뭔지 이해가 안가는 사람은, 에스페란토의 zamenhofa tabulo를 공부하고 오도록! | ||
|| esper. || mare || 의미 || || esper. || mare || 의미 || | || esper. || mare || 의미 || || esper. || mare || 의미 || | ||
- | || cxi || el* || 모든- || || am || t& | + | || cxi || el* || 모든- || || am || té* || 시간 || |
- | || ki || ci* || 의문사 || || u || n& | + | || ki || ci* || 의문사 || || u || né || 사람 || |
- | || ti || di* || 그- || || e || s& | + | || ti || di* || 그- || || e || sé || 장소 || |
- | || i || me || some- || ''' | + | || i || me || some- || **X** || o || pé || 것,일 || |
- | || neni || in || 부정 || || el || d& | + | || neni || in || 부정 || || el || dé ||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Ee.의 Zamenhofa와 다른 점은 접두 쪽에 ' | + | Ee.의 Zamenhofa와 다른 점은 접두 쪽에 ' |
- | 어쨌든, 6*8로 최대 가능한 ' | + | 어쨌든, 6*8로 최대 가능한 ' |
- | 따라서, 전체 가능한 Zamenhof사와 거기서 빠지는 Zamenhof사를 참조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편의상 | + | 따라서, 전체 가능한 Zamenhof사와 거기서 빠지는 Zamenhof사를 참조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편의상 |
|| elfe || 모든 시간/ | || elfe || 모든 시간/ | ||
줄 103: | 줄 103: | ||
|| elwe || 모든 소유 || ciwe || whose || diwe || 그 소유 || || || inwe || 누구의 것도 아니다 || || || | || elwe || 모든 소유 || ciwe || whose || diwe || 그 소유 || || || inwe || 누구의 것도 아니다 || || || | ||
|| ekle || 전량 || cile || how much || || || || || || || nole|| 가능한 수량 || | || ekle || 전량 || cile || how much || || || || || || || nole|| 가능한 수량 || | ||
- | |||
각각의 접속어는 접두, 접미사로 사용가능하며, | 각각의 접속어는 접두, 접미사로 사용가능하며, | ||
- | 5. 접속사 | + | ===== 5. 접속사 |
|| 원어 || 의미 || 원어 || 의미 || | || 원어 || 의미 || 원어 || 의미 || | ||
|| nak || and || nef || of || | || nak || and || nef || of || | ||
줄 122: | 줄 121: | ||
|| nai || 명령 || ne' || 권유 || | || nai || 명령 || ne' || 권유 || | ||
- | * 최근에는 nal이 nap의 기능을 동반하고 있음. 통합여부는 나중에 정할듯. | + | |
- | 6. 일반접두사, | + | ===== 6. 일반접두사, |
|| 접두/ | || 접두/ | ||
줄 142: | 줄 141: | ||
|| sig- || 다시 || -is || -하는 도구 || | || sig- || 다시 || -is || -하는 도구 || | ||
- | 7. 인칭대명사 | + | ===== 7. 인칭대명사 |
- | ||단수||ae||pe||se ||the||nhe|| | + | |**단수**|ae|pe|se |the|nhe| |
- | ||복수||ce||re|||||| | + | |**복수**|ce|re| |
- | ||범례||1 ||2 ||3남||3여||3물|| | + | |**범례**|1 |2 |3남|3여|3물| |
- | 8. 수사 | + | ===== 8. 수사 |
한국식으로 진행. | 한국식으로 진행. | ||
- | |||
||1 ||2 ||3 ||4 ||5 ||6 ||7 ||8 ||9 ||10 ||100||1000||10000||100000000|| | ||1 ||2 ||3 ||4 ||5 ||6 ||7 ||8 ||9 ||10 ||100||1000||10000||100000000|| | ||
||se*||ce*||ge||ne||te||de||ke||me||pe||fle||be ||je ||che ||ie || | ||se*||ce*||ge||ne||te||de||ke||me||pe||fle||be ||je ||che ||ie || | ||
- | * se, ce는 인칭대명사로도 사용되니 주의하자. | + | * se, ce는 인칭대명사로도 사용되니 주의하자.\\ |
이제 e, | 이제 e, | ||
- | == 2부 == | + | ====== 2부 ====== |
- | 1. 문장의 기본 구조 | + | ===== 1. 문장의 기본 구조 |
- | 마레에서는 한국어의 기본구조인 SOV나 영어의 기본 구조인 SVO, 양자 모두허락한다. | + | 마레에서는 한국어의 기본구조인 SOV나 영어의 기본 구조인 SVO, 양자 모두 허락한다. |
| | ||
- | ||Mare || English | + | ^ Mare ^ English |
- | ||ao nao p& | + | |ao nao pí.| I love you. | 나는 사랑한다 너를.| |
- | ||ao p& | + | |ao pí nao.| I you love. | 나는 너를 사랑한다.| |
- | == 3부 == | + | ====== 3부 ====== |
- | 외래어 표기법 | + | ===== 외래어 표기법 |
- | 1. 모든 외래어는 마지막 문자를 대문자로 표기하고, | + | 1. 모든 외래어는 마지막 문자를 대문자로 표기하고, |
- | 예) corE 한국 (korea-> | + | 예) corE 한국 (korea-> |
- | 랑데뷰 -> langdebiuE, Randezvous 김민숙 -> Gim minsug. | + | 랑데뷰 -> langdebiuE, Randezvous 김민숙 -> Gim minsug. |
- | 2. 문자 표기에 있어서, 모든 문자는 25자 내에 표기되어야 하므로, 25자안에 표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원문자를 변화한다. | + | 2. 문자 표기에 있어서, 모든 문자는 25자 내에 표기되어야 하므로, 25자안에 표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원문자를 변화한다.\\ |
- | 1) ㅑ, | + | 1) ㅑ, |
- | 예) 할렐루야: | + | 예) 할렐루야: |
- | 2) ㅘ, | + | 2) ㅘ, |
- | 예) 뷁 : bweik/bwerk : buelg(E) | + | 예) 뷁 : bweik/bwerk : buelg(E)\\ |
- | 3) v는 b로 바꾼다. | + | 3) v는 b로 바꾼다.\\ |
- | 예) versa vice (L.반대로) : bersa bichE | + | 예) versa vice (L.반대로) : bersa bichE\\ |
- | 4) 기존의 c는 상황에 따라 k나 ch, s, g등으로 바꾼다. | + | 4) 기존의 c는 상황에 따라 k나 ch, s, g등으로 바꾼다.\\ |
예) Cospre : kosprE (표준어는 lesese) / comic world : komig uorld(E) | 예) Cospre : kosprE (표준어는 lesese) / comic world : komig uorld(E) | ||
mare/ex.129338457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5/03/12 04:33 (바깥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