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onlang_classfication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conlang_classfication [2011/01/01 15:17] ellif d.aconlang_classfication [2015/03/12 03:47]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줄 36: 줄 36:
   * 연역말과 혼합형    * 연역말과 혼합형 
     * 회화 가능어      * 회화 가능어 
-      * 철학말 (카테고리화된 어휘)* +      * 철학말 (카테고리화된 어휘)<sup>*</sup>
       * 연역적이나 카테고리화되지 않은 어휘        * 연역적이나 카테고리화되지 않은 어휘 
       * 연역/귀납법이 섞인 어휘        * 연역/귀납법이 섞인 어휘 
줄 44: 줄 44:
       * 제스쳐언어        * 제스쳐언어 
       * 기타        * 기타 
 +
 ---- ----
  
-카테고리화된 어휘에 대해서는 [http://www.invisiblelighthouse.com/langlab/ro.html|Ro] 에 대한 설명을 읽어 주십시오. +<sup>*</sup>카테고리화된 어휘에 대해서는 [[http://www.invisiblelighthouse.com/langlab/ro.html|Ro]] 에 대한 설명을 읽어 주십시오. \\ 
 +\\ 
 +이 체계로 몇몇 잘 알려진 인공어를 분류한 예입니다. \\ 
 + 
 +<center> 
 +1.1.1 라티노 시네 플렉시온(Latino sine Flexion) (Peano) \\ 
 +1.1.2 기본영어(Basic English) (Ogden)\\ 
 +1.2.1 이도(Ido)\\ 
 +1.3 인탈(INTAL) (Weferling)\\ 
 +1.4.1 에스페란토(Esperanto) (Zamenhof)\\ 
 +1.4.1.1 인테르링구아(Interlingua) (Gode)\\ 
 +1.5.2 볼린(Vorlin) (Harrison)\\ 
 +2.1.1 로(Ro) (Foster)\\ 
 +2.1.2 수마(Suma) (Russell)\\ 
 +2.2.1 블리심볼즈(Blissymbols)\\ 
 +</center>
  
-이 체계로 몇몇 잘 알려진 인공어를 분류한 예입니다.  
-[[HTML(<center>)]] 
-1.1.1 라티노 시네 플렉시온(Latino sine Flexion) (Peano)  
-1.1.2 기본영어(Basic English) (Ogden) 
-1.2.1 이도(Ido) 
-1.3 인탈(INTAL) (Weferling) 
-1.4.1 에스페란토(Esperanto) (Zamenhof) 
-1.4.1.1 인테르링구아(Interlingua) (Gode) 
-1.5.2 볼린(Vorlin) (Harrison) 
-2.1.1 로(Ro) (Foster) 
-2.1.2 수마(Suma) (Russell) 
-2.2.1 블리심볼즈(Blissymbols) 
-[[HTML(</center>)]] 
 ---- ----
 +
 * Cafenoir님 번역을 허락맡고 퍼 온 것입니다. 절대 퍼가지 마세요. * Cafenoir님 번역을 허락맡고 퍼 온 것입니다. 절대 퍼가지 마세요.
  
conlang_classfication.129386265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5/03/12 03:39 (바깥 편집)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