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념론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정념론 [2011/07/15 18:44] ellif d.a정념론 [2015/03/12 03:47]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줄 54: 줄 54:
     - 마음의 힘도 진리를 모르고서는 충분하지 않다     - 마음의 힘도 진리를 모르고서는 충분하지 않다
     - 지도를 잘하면 정념에 대해서 절대권을 갖지 못할 만큼 박약한 마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 지도를 잘하면 정념에 대해서 절대권을 갖지 못할 만큼 박약한 마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  2부 : 정념의 수와 순위, 그 기본 여석가지 정념에 대한 설명+  2부 : 정념의 수와 순위, 그 기본 여석가지 정념에 대한 설명
     - 51 정념의 근본 원인은 무엇인가     - 51 정념의 근본 원인은 무엇인가
 +    - 정념의 효용은 어떠한가, 또 어떻게 ㅈ어념을 열거할 수 있는가
 +    **정념의 순위와 열거**
 +    - 경이(admiration)
 +    - 존중(estime), 경시(me`pris),, 고매(ge`ne`rosite`), 오만(orgueil), 겸손(humilite`), 비굴(bassesse)
 +    - 존경(ve`ne`ration)과 모멸(de`dain)
 +    - 사랑(amour)과 증오(haine
 +    - 욕망(de`sir)
 +    - 희망(espe`rance), 두려움(crainte), 질투(jalousie), 안심(se`curite`), 절망(de`sespoir)
 +    - 망설임(irre`solution), 용기(courage), 대담(hardiesse), 경쟁심(e`mulation), 비겁(la`chete`), 공포(e`pouvante)
 +    - 가책(remonds)
 +    - 기쁨(joie)과 슬픔(tristesse)
 +    - 야유(moqueire), 선망(envie), 연민(pitie`)
 +    - 자기만족(satisfaction de soi-me^me)과 후회(repentir)
 +    - 호의(faveur)와 감사(reconnaissance)
 +    - 분개(indignation)와 노여움(cole`re)
 +    - 명예심(gloire)과 치욕(honte)
 +    - 혐오(de`gou^t), 유감(regret), 유열(alle`gresse)
 +    - 이 정념의 열거는 왜 일반적으로 인정된 것과 다른가
 +    - 기본적인 정념은 여섯가지가 있을 뿐이다
 +    - 경이, 그 정의와 원인
 +    - 이 정념을 가지고는 심장이나 피에 어떠한 변화도 초래하지 않는다
 +    - 경이가 강한 이유는 무엇인가
 +    - 경악이란 무엇인가
 +    - 모든 정념은 무엇에 쓰며, 무엇에 해를 입히는가
 +    - 경이는 특히 무엇에 존재하는가
 +    - 경이는 어떤 점에서 해로운가, 또 어떻게 그 모자람을 채우고 지나친 것을 고칠 수 있는가
 +    - 가장 쉽게 놀라는 사람은 아주 바보도 아니고 지나치게 똑똑한 사람도 아니다
 +    - 지나친 경이는 것을 바로잡는 노력을 게을리하면 습성이 된다
 +    - 사랑과 미움의 정의
 +    - 자진해서 결합하고 또 떨어진다는 것은 무엇인가
 +    - 보통 있는 욕망의 사랑과 호의의 사랑의 구별
 +    - 서로 다른 몇 개의 정념이 사랑의 성질을 나누어 갖는 점에서 일치하는 경위
 +    - 단순한 사랑과 우애, 헌신적인 사랑과의 차이
 +    - 미움에는 사랑만큼 여러가지가 없다
 +    - 쾌와 불쾌에 대해서
 +    - 욕망의 정의
 +    - 욕망은 반대 정념이 없는 정념이다
 +    - 그 종류는 무엇 무엇인가
 +    - 불쾌에서 생기는 욕망은 무엇인가
 +    - 쾌감에서 생기는 욕망은 무엇인가
 +    - 기쁨의 정의
 +    - 슬픔의 정의
 +    - 이 두 정념의 원인은 무엇인가
 +    - 어떻게 하여 이 정념들은 몸에만 관계되는 좋은 것 나쁜 것에 의해서 자극되는가. 또 간지러움(chatouillement)과 아픔은 무엇인가
 +    - 마음에 속하면서도 마음이 깨닫지 못하는 선악에 의해 이들 정념은 또 어떻게 자극되는가. 위험을 무릅쓰는 일과 과거의 재난을 상기하는데서 느끼는 쾌감은 어떤 것인가
 +    - 이상 다섯가지 정념이 일으키는 피와 정기의 운동은 무엇인가
 +    - 사랑에 있어서 피와 정기의 운동을 알게 하는 중요한 경험적 사실
 +    - 미움을 느낄 때
 +    - 기쁨을 느낄 때
 +    - 슬픔을 느낄 때
 +    - 욕망을 느낄 때
 +    - 사랑할 때의 피와 정기의 운행
 +    - 미움을 느낄 때
 +    - 기쁨을 느낄 때
 +    - 슬픔을 느낄 때
 +    - 욕망을 느낄 때
 +    - 사랑을 느낄 때 이런 운동이 생기는 원인
 +    - 미움을 느낄 때
 +    - 기쁨을 느낄 때
 +    - 슬픔에 있어서
 +    - 욕망에 있어서
 +    - 이들 여러 정념의 외적 징후는 어떠한가
 +    - 눈과 얼굴의 작용에 대해서
 +    - 얼굴빛의 변화에 대해서
 +    - 기쁨은 어떻게 얼굴을 붉게 하는가
 +    - 슬픔은 어떻게 하여 얼굴을 창백하게 하는가
 +    - 슬플 때 사람은 어째서 이따금 얼굴을 붉히는가
 +    - 떨림에 대해서
 +    - 나른함에 대해서
 +    - 나른함은 사랑과 욕망에 의해서도 생긴다
 +    - 나른함은 다른 정념에 의해서도 생긴다
 +    - 기절에 대해서
 +    - 왜 슬픔에 의하여 기절하지 않는가
 +    - 웃음에 대해서
 +    - 격렬한 기쁨에는 왜 웃음이 따르지 않나
 +    - 웃음의 주된 원인은 무엇인가
 +    - 분노에 있어 웃음의 원인은 무엇인가
 +    - 눈물의 원인에 대해서
 +    - 증기는 어떻게 하여 물이 되는가
 +    - 눈을 아프게 하면 울게 되는 이유
 +    - 슬프면 우는 이유
 +    - 눈물에 수반되는 흐느낌에 대해서
 +    - 아이나 노인은 어째서 잘 우는가
 +    - 어째서 어떤 아이는 울지 않고 얼굴만 창백해지는가
 +    - 한숨에 대해서
 +    - 어떤 사람들에게 일어나는 특수한 정념작용은 어디서 오는가
 +    - 여기서 설명한 다서가지 정념이 신체에 관계하는 한의 효용
 +    - 이들 정념의 결함 및 그것을 바로잡는 방법에 대해서
 +    - 위와 같은 정념이 마음에 속하는 한에 있어서의 효용, 첫째, 사랑에 대해서
 +    - 미움에 대해서
 +    - 욕망·기쁨·슬픔에 대해서
 +    - 슬픔·미움과 비교해 본 기쁨·사랑
 +    - 욕망에 관계된, 위의 네 정념에 관해서
 +    - 어떤 결과가 우리의 힘에만 좌우되는 욕망에 대해서
 +    - 다른 사물에 의해서만 좌우되는 욕망과 그리고 우연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    - 우리에게도, 그리고 다른 것에도 좌우되는 욕망에 대해서
 +    - 마음의 내적 정서에 대해서
 +    - 덕의 수양이 정념에 대한 가장 좋은 치료법이다
 +  - 제 3부 : 특수한 정념
 +    - 존중과 경모
 +    - 이 두 가지 정념은 바로 하나의 경이이다
 +    - 사람은 스스로를 존중하거나 경모할 수 있다
 +    - 어떤 원인으로 사람은 자기 스스로를 존중할 수 있는가
 +    - 고매는 어디서 존쟇는가
 +    - 고매하면 남을 얕보지 않는다
 +    - 올바른 겸손은 무엇에 존재하는가
 +    - 고매의 특성은 무엇인가, 또 고매는 어떻게 하여 모든 정념의 흐트러짐을 구할 수 있는가
 +    - 오만에 대해서
 +    - 오만의 작용은 고매의 작용과 반대다
 +    - 그릇된 겸손에 대해서
 +    - 이들 정념에 있어서의 정기의 운동은 어떠한가
 +    - 고매는 어떻게 하면 얻을 수 있는가
 +    - 존경에 대해서
 +    - 모멸에 대해서
 +    - 이들 두 정념의 효용에 대해서
 +    - 희만과 두려움에 대해서
 +    - 안심과 절망에 대해서
 +    - 질투에 대해서
 +    - 어떤 경우에 이 정념은 온당할 수 있는가
 +    - 어떤 경우에 그것을 비난해야 하는가
 +    - 망설임에 대해서
 +    - 용기와 대담에 대해서
 +    - 경쟁심에 대해서
 +    - 대담은 어떻게 하여 희망에 좌우되나
 +    - 비겁과 두려움에 대해서
 +    - 비겁의 효용에 대해서
 +    - 두려움의 효용에 대해서
 +    - 가책에 대해서
 +    - 야유에 대해서
 +    - 어째서 결점이 많은 사람이 가장 잘 야유하는가
 +    - 비웃음의 효용에 대해서
 +    - 비웃음에 있어서의 웃음의 효용에 대해서
 +    - 선망에 대해서
 +    - 선망은 어떻게 하여 정당해지고 혹은 부당해질 수 있는가
 +    - 선망의 감정이 강한 자의 얼굴빛이 납빛을 띠기 쉬운 것은 왜인가
 +    - 연민에 대해서
 +    - 연민의 정이 가장 깊은 자는 누구인가
 +    - 가장 고매한 자가 어떻게 하여 이 정념에 움직여지는가
 +    - 연민을 느끼지 않는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    - 왜 이 정념은 눈물을 자아내는가
 +    - 자기 만족에 대해서
 +    - 후회에 대해서
 +    - 호의에 대해서
 +    - 감사에 대해서
 +    - 배은에 대해서
 +    - 분에 대해서
 +    - 분은 왜 어떤 떄는 연민에, 어떤 때는 야유에 결합되는가
 +    - 분은 흔히 경이에 수반되며, 또 기쁨과 양립할 수도 있다
 +    - 그 효용에 대해서
 +    - 노여움에 대해서
 +    - 노여움으로 얼굴을 붉히는 자가 왜 창백해지는 자보다 무섭지 않는가
 +    - 노여움엔 두 종류가 있으며, 가장 선량한 자는 그 가운데 첫번쨰 것에 가장 빠지기 쉽다
 +    - 두번째에 노여움을 가장 잘 느끼는 자는 마음이 약하고 천한 자이다
 +    - 고매함은 지나친 노여움의 좋은 약이 된다
 +    - 명예심에 대해서
 +    - 치욕에 대해서
 +    - 이들 두 정념의 효용에 대해서
 +    - 파렴치에 대해서
 +    - 혐오에 대해서
 +    - 유감에 대해서
 +    - 유열에 대해서
 +    - 여러 정념에 대한 일반적인 치료법
 +    - 인생의 선악은 모두 정념에 달려있다
정념론.131072309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5/03/12 03:38 (바깥 편집)

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